2023년 코칭 트렌드는 무엇일까? 코칭은 스포츠 선수에게 잘 어울리는 단어였다. 하지만 지금은 스포츠라는 울타리를 넘어 비즈니스, 라이프, 웰니스, 커리어 영역에서도 코칭이라는 단어가 어색하지 않는 시대가 됐다. 그 예로 2022년 국내 코칭 콘퍼런스에는 1500명~2000명의 인원이 참여했고, 한국 코치협회에서 발급하는 코칭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코치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대기업에서는 사내 코치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코칭이 무엇인지 궁금한 당신에게 코칭을 처음 접하게 되면 이것저것 궁금한 것들이 생깁니다. 한국에서 코칭은 아직 '포지셔닝'되지 못했죠. 그래서 코칭이라고 하면 상담, 컨설팅, 멘토링 등과 매우 혼돈이 됩니다. 그래서 준비했어요. 이제 코칭이 무엇인지 그 활용성을 중심으로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코칭은 크게 2가지 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심리적인 난관을 극복한다] 우리는 회사 생활을 하면서 여러
제대로 된 목표설정이 인재의 리텐션을 높인다 요즘 기업 인터뷰를 해보며 구성원 모두가 일을 즐기는 팀의 공통점은 모두가 몰입을 하기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팀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첫번째로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부터 해야 할까 고민한다. 그리고 문제점을 찾아 해결할 수 있는 기능 개발을 하다보면 끝을 맺고 보람을 느낀다. 하나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미래가 불확실할 때 읽어보면 좋은 말 CEO는 불확실성과 싸워야 합니다. 미래는 아무도 확신할 수 없지요. 비즈니스는 기대감으로 시작했을지 모르지만 그 과정은 불확실성의 연속입니다. CEO에게는 불확실성을 견디는 힘이 필요하죠. 심리학의 연구 결과(오영아, 정남훈, 2011)에 따르면 불확실성을 참는 힘이 부족하면 경험을 회피하거나 평소보다 걱정을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EO가 불확실성 때문에 의사결정을 회피하거나 불안하고 걱정하는
스타트업 CEO 는 무슨 고민을 할까? CEO들만 모이는 커뮤니티 같은 곳들이 있죠. 그중 하나가 **씨오톡**이라는 곳입니다. 기업의 대표들이 속 터놓고 이야기 하는 곳에서는 CEO가 어떤 고민들이 있는지 한번 조사를 해봤어요. 빛이 밝으면 그림자는 어두운 법 CEO의 익명 게시판에 올라온 고민 글 95건을 분석한 결과 크게 6가지 고민 카테고리가 나왔어요. 물론 정성적인 분석이기 때문에 이런 고민을
Leadership 회사의 목표를 얼라인 하는 3단계 프로세스 리더십 한 스푼 15초 요약 기업의 목표를 구성원에게 제대로 얼라인 시키지 못하면 불완전한 의사결정, 리소스 낭비, 조기 퇴사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기부여, 구체적인 목표 설정, 구성원 참여를 활용해 목표를 얼라인 시킬 수 있는 팁을 드립니다. 첫 번째로 구성원의 성장에 대한 갈망 수준을 체크하고, 이 부분이 부족하다면